가수 최진희, 본명은 최명숙으로 1957년 전북 익산에서 태어난 그녀는 어릴 때부터 음악에 소질이 있었습니다.
그녀는 고등학교 3학년 때 친구와 함께 상경하여 ‘오아시스 레코드사’의 오디션에 합격하였는데요.
이후로도
그녀는 음악학원에서 음악을 공부한 후 같은 또래의 소녀들과 팀을 이루어 6인조 밴드 “Sheep”을 결성하여 경력을 시작했습니다.
이들 ‘양’과 동료들은 명동과 그 외 지역의 클럽에서 공연을 하면서 경험을 쌓았습니다.
![](https://i0.wp.com/blog.kakaocdn.net/dn/blhQTj/btszWFAOIV0/SJGTCF1bTb37BOFMcLfsU1/img.jpg?w=795&ssl=1)
그렇게 수년간 경험을 쌓은 이들은 어느덧 입소문이 나서 실력을 인정받아 유명한 나이트클럽을 옮겨 다니며 공연을 하는 실력 있는 밴드로서 인정을 받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그중에서 특히 남다른 가창력으로 돋보였던 최진희는 1982년 호텔 엠버서나이트클럽에서 공연할 때 또 다른 팀의 악장이었던 김희갑 씨의 눈에 띄게 되어 당시 김희갑이 맡았던 KBS의 드라마 ‘청춘 행진곡’의 주제가였던 ‘그대는 나의 인생’을 부르게 됩니다.
그리하여
이들은 단숨에 그룹 사운드 ‘한울타리’를 결성해 첫 앨범 ‘You Are My Life’를 발매해 큰 인기를 끌었다.
1984년에는 라디오 방송 횟수 1위를 차지할 정도로 큰 인기를 끌었다고 한다.
데뷔 후 뜨거운 호평을 받은 최진희는 김희갑의 곡이 수록된 정식 데뷔 앨범을 발표하며 본격적으로 솔로 활동을 시작했으며, 이번 솔로 앨범의 타이틀곡은 그 유명한 ‘사랑의 미로’이다. .
이에 최진희는 이후 평양에서 열린 남북 평화협력을 위한 기도식에 초대돼 ‘사랑의 미로’를 열창했다.
반응이 꽤 뜨거웠다고 하네요.
참고로 최진희는 ‘사랑의 미로’에 이어 현이, 덕이의 ‘뒤늦은 후회’를 불러달라는 요청을 받아 왔다.
이런저런 이유로 우리 팝송이 인기가 많은 것 같아요.
아무튼
‘그대는 나의 인생’, ‘사랑의 미로’로 스타덤에 오른 최진희는 1985년부터 KBS의 10대 가수상을 받기도 하고, MBC 드라마 ‘물보라’의 주제가를 부르며 백상 예술 대상에서 주제가상을 받고, 이듬해인 1986년에는 ‘바람에 흔들리고 비에 젖어도’를 부르며 서울 국제가요제에서 금상을 받는 등 당시 김수희, 심수봉, 주현미 등과 같은 톱스타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시대를 대표하는 가수로 많은 인기를 얻었습니다.
이 외에도 ‘우린 너무 쉽게 헤어졌어요’, ‘미련 때문에’, ‘꼬마 인형’, ‘천상 재회’, ‘여정’, ‘미워도 내 사랑은’ 등등 수많은 히트곡을 내며 사랑을 받았습니다.
최진희는 1985년 그룹사운드의 드러머였던 이덕규 씨와 첫 결혼을 하였는데요.
![](https://i0.wp.com/blog.kakaocdn.net/dn/b5qp7b/btszSKwl1M9/KmPdkJ8wdRf1c1D6PwCo0K/img.png?w=795&ssl=1)
오랜 시간 무명생활을 한 탓에 유명해지기까지 얼마나 큰 어려움이 있는지 몸소 체험한 적이 있었기에, 안정된 분위기 속에서 지속적인 가수 활동을 하기 위해 서둘러 결혼을 했었다고 합니다.
결혼생활을 하며 소중한 딸까지 생겼지만, 안타깝게도 이 둘은 결혼 11년 만에 이혼을 하며 각자의 길을 걸어가게 되었는데요.
특별하게
공개된 적이 없는 둘의 이혼 사유는 단순히 성격 차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렇게 혼자가 된 이후에 최진희 씨는 이혼 당시 빚이 있었기에 자신의 친언니 집에서 살면서 공연을 하며 힘겹게 지냈다고 합니다.
그러던 중 지금의 남편인 유승진 씨를 만나게 되는데요.
부산에서 개인 사업을 하고 있었던 유승진 씨.
최진희 씨는 유승진 씨의 회사 행사에 초대되어 노래를 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https://i0.wp.com/blog.kakaocdn.net/dn/bWkt8v/btszYmUWd2t/stgb5C5wr2NRG8N8jti3cK/img.png?w=795&ssl=1)
실제로 유승진은 최진희를 처음 봤을 때 외모도 마음에 들지 않고 노래만 좋아해서 좋아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최진희에게 첫눈에 반해 방송이 끝날 때까지 그녀를 기다렸다고 한다.
최진희는 유승진에 대한 첫인상이 유머러스하고 카리스마가 넘친다고 말했다.
이후 최진희는 여러 차례 회사에 초청을 받았고, 그 결과 두 사람은 더욱 가까워졌고 결국 연인이 됐다.
어려울 때 옆에 있어주고 정신적으로 큰 힘이 되어주는 최진희 씨에게 끌렸던 것 같아요.
하지만 결혼을 성사시키는 데는 딸의 도움이 결정적이었다고 한다.
최진희는 이렇게 새 남편을 만나 안정된 가정을 꾸렸다.
부부 사이에는 별 문제가 없었지만 예상대로 잘 지내던 두 사람에게 이혼 위기가 닥쳤다고 한다.
둘은 어디서 살 것인가에 대한 의견 차이로 ‘같이 살지 말자’는 얘기까지 나왔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두 사람은 양보하며 위기를 잘 이겨냈다.
하지만
오히려 그것보다 더 큰 문제가 있었다고 하는데요.
그녀에게 예상치 못한 큰 시련이 찾아오게 됩니다.
평소 건강이 안 좋았던 그녀의 아버지.
그리고 그런 아버지를 평생 간호하고 여섯 자식을 먹이고 키운 어머니.
최진희
씨는 그런 어머니에게 ‘여자의 인생은 없었다’라고 하며 안타까운 마음을 토해낸 적이 있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갑자기 아버지가 뇌출혈로 돌아가시게 되고, 배우자가 세상을 떠나고 혼자가 된 외로움과 허무함 때문인지 이듬해에 어머니도 당뇨 합병증으로 세상을 떠나게 됩니다.
그렇게 1년 사이에 부모님을 모두 잃은 최진희 씨는 엄청난 충격을 받으며 극심한 슬픔에 빠지게 됩니다.
평소
어머니의 삶이 안타깝다고 말해 왔지만, 나중에서야 보니 자신이 어머니에게 더욱 의지하고 있었음을 깨달았던 그녀.
그런 어머니가 허무하게 세상을 떠났다는 사실에 견딜 수가 없었던 것입니다.
부모님을 잃은 슬픔이야 당연하겠지만 최진희 씨의 경우는 더욱 마음에 사무쳤는지, 그녀는 어머니가 돌아가시자 충격으로 입과 눈 주변 근육이 마비가 되는 구안와사에 걸려 입이 완전히 돌아가 버렸고 실어증까지 오게 됩니다.
거기에 신종플루, 신우신염까지 와서 14시간 넘게 의식이 불명이 되는 등 마치 세상의 미련을 버리려는 듯, 극심하게 몸 상태가 안 좋아진 그녀.
입까지 완전히 돌아가 버려서 말을 제대로 할 수도 없었고, 가족들조차도 그녀가 하는 말을 잘 알아듣지 못해 우울증까지 걸리게 됩니다.
갑작스레
부모님을 여의고 충격으로 모든 걸 포기할 뻔했던 그녀.
아마 혼자였다면 이 위기를 견디기 어려웠을 것입니다.
하지만, 천만 다행히도 그녀의 옆에는 사랑하는 딸과 남편이 있었습니다.
힘들어하는 그녀를 위해 딸과 남편이 적극적으로 도와주며 간호를 하자, 그녀는 점차 건강을 회복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그녀는 방송에서 40년간 당뇨로 고생하신 어머니의 이야기를 하며 자신도 당뇨 진행을 막기 위해 철저하게 건강을 관리하고 있는 중이라고 하였습니다.
앞으로도 건강한 모습으로 좋은 노래를 많이 들려주길 바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