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유상철 감독이 췌장암 투병으로 우리 곁을 떠났다. 이어 히딩크 감독의 러브콜을 받았던 골키퍼 차기석도 35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유망주 골키퍼였던 차기석은 U20 축구대표팀 골키퍼로 히딩크 전 감독을 직접 지도했다.
이후
2005년에는 히딩크 감독이 운영하는 PSV 아인트호벤 훈련에 참석해 실력을 인정받았다. 그러나 그를 덮친 극심한 피로는 결국 2006년 초 만성 신부전으로 돌아왔다.
차기석은 아버지의 신장 중 하나를 이식받았다. 그러나 축구를 포기하지 못한 그는 가족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2009년 시민축구단에 입단했으나 2010년 은퇴했다.
하지만
차기석은 포기하지 않고 모교인 연세대 골키퍼 코치로 두 번째 축구인생을 시작했다. 하지만 경기 중 문제가 되었던 신장이 다시 문제를 일으켰다.
그래서 그는 신장 이식을 두 번 더 받았습니다. 그러나 이식된 신장은 계속해서 이식편을 거부했고, 버거씨병과 다발성근염이 겹쳐 만성신부전이 발생했다.
급기야 중환자실에 있다는 소식과 함께 두 다리가 점점 죽어가고 있다는 소식을 전했고, 차기석 씨도 많이 아팠을 것이다.
그렇게
어쩔 수 없이 축구코칭임에도 그는 꿈을 접고 양다리를 절단을 해야 했다. 그는 처음 신장이 안좋아졌다는 말을 듣고 한달 뒤 검사를 다시 받았을 때 간도 안 좋다는 진단을 받았다고 하는데요.
잘 걷지도 못하고 넘어지는 상황으로 병원에 꾸준히 다니면서 호전이 되고 있었는데 팔 혈관이 막혀서 수술을 했는데도 발에 통증이 너무 심해 알고보니 버거씨병이었다고 합니다.
그렇게 괴사가 계속 진행되자 결국은 양쪽 다리를 절단해야 하는 상황까지 온 것인데요. 그리고 음식도 3개월 동안 거의 먹지 못할 정도로 고통스러운 시간을 보내야 했다.
그가 투병당시에 김병지 선수도 그를 응원하기 위해 본인의 개인 유튜브를 통해 응원의 메세지를 전했고 이영표 선수가 재단 이사로 있는 축구사랑 나눔재단은 총 3,000만 원의 후원금을 전달했다.
하지만 차기석의 몸은 더욱 악화되어 갔다. 중환자실에서 생사를 넘나들기도 한 그는 힘든 투병 생활을 이어갔지만, 끝내 향년 35세의 나이로 별세했다.
당시
한국 축구계에서는 유상철 감독과 김희호 감독의 하차 소식에 차기석 감독의 안타까운 소식이 더해져 슬픔이 사라진 상황에 많은 축구팬들이 안타까움과 안타까움을 감추지 못했다. 그는 아직 떠나지 않았습니다.
축구를 정말 사랑했던 차기석은 끝까지 손을 놓지 않았다. 그를 이렇게 내버려 두는 것은 부끄러운 일입니다. 그곳에서 평안하시길 바라며,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