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의 조사에 대해 대한축구협회가 반발하자 장미란 문화체육관광부 제2차관이 비난보다는 협력하겠다는 의지를 강조했다. 축구대표팀 감독 선발 과정을 둘러싸고 팬들의 반발이 커지자 문화체육관광부는 최근 축구협회를 직접 조사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장미란 차관은 18일 스포츠서울과의 인터뷰에서 이 문제에 대한 책임은 문화체육관광부에게 있음을 강조했다. 그는 그들의 목적이 조사를 수행하거나 비난을 퍼붓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했습니다. 그는 이 문제가 국가 차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지적했습니다. 아울러 그는 상황 처리에 있어서 전문성을 존중하고 자율성을 부여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인정했다.
장 차관은 운영이나 선정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소관부처가 소극적일 수는 없다고 말했다. 협력은 발생할 수 있는 모든 문제를 해결하고 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축구협회의 반대에 대해 장 차관은 문제가 없다면 개입할 필요도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관리 및 감독에 있어서 부처의 역할을 강조하면서 그들의 의도는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장 차관은 문제가 생기면 서로 돕지 않는다는 생각에 의문을 제기하며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축구협회의 한 저명한 관계자는 잠재적인 정치적 압력과 FIFA의 제재, 월드컵 본선 탈락 가능성 등 그에 따른 결과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이 관계자의 발언은 FIFA와 월드컵을 언급할 때 많은 사람들이 느끼는 불안감을 조명했다. 그러나 문화체육관광부는 이에 개입할 권한이 부족하다. 관계자는 조치를 취하고 싶어도 그렇게 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는 회원 협회가 독립성을 유지하고 정치적 간섭을 피하도록 요구하는 FIFA의 명확한 지침 때문입니다.
장 차관은 “우리가 할 수 있는 일, 해야 하는 일이 있다면 해야 한다. 방향성을 같이 잡고, 해결 방법을 찾자는 뜻”이라며 “그렇게 하기 위해 힘을 합치자는 뜻이다. 여럿이 머리를 맞대는 쪽이 낫지 않을까. 조화롭게 잘하기 위함”이라고 했다.
한편 축구협회는 지난 2월 위르겐 클린스만 전 감독과 결별한 이후 새 사령탑을 물색하다가 지난 7일 프로축구 울산 HD 홍명보 감독을 대표팀 감독으로 선임했다.
그 과정에서 외국인 감독을 알아보다가 뚜렷한 이유 없이 국내 감독을 선임한 점, 홍 감독이 대표팀에 생각이 없는 듯하다가 갑자기 자세를 바꾼 점 등을 들어 팬들은 협회 결정을 거세게 비난했다.
이후 국가대표전력강화위원회 위원으로 일한 박주호가 감독 선임 과정에서 절차적 문제가 있었다는 폭로 영상을 올린 이후 이영표, 박지성, 이동국 등 국가대표 출신 축구인들이 연이어 축구협회에 대한 비판 목소리를 보태면서 여론이 거세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