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게 허무한 이별이 또 어디에…. “방랑시인 김삿갓” 부른 가수 명국환의 갑작스런 소식.. 원로 인기기수가 어떠다가…

원로 가수 명국환이 96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는 소식이 알려지자 지난달 이미 사망한 것으로 드러났으나 장례식에 가족이 참석하지 않아 사망이 늦어져 많은 이들의 안타까움을 자아냈다.

최근

지난달 세상을 떠난 명국환 씨는 영광스러운 과거를 뒤로하고, 무관계인으로 분류돼 쓸쓸한 죽음을 맞이했다고 합니다.

대한가수협회는 오늘 오전 9시까지 경기도 부천시 송내동 희뉴병원 장례식장에서 고 명국환의 빈소를 마련했다. 지난달 19일 명국환이 세상을 떠난 지 약 2주 만에 치러진 장례식이었다.

 

 

명국환의 시신이 발견된 후 구청에서는 고인의 가족을 온갖 방법으로 수색했지만 시신을 넘겨주려는 가족이 보이지 않아 고인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 판단했고, 소식을 들은 대한가수협회가 도착했다. 늦게 그의 이름으로 장례식을 조직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고인은 지난달 19일 오전 10시 50분께 인천 남동구 요양병원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이어

이자연 대한 가수협회장은 밝히길, “어제 요양병원으로부터 연락을 받았다. 연로하신 선생님을 항상 걱정하며 모시다가 작년 연락이 잠시 안 됐다. 알고 보니 기초수급생활자여서 요양원에 가시는 바람에 연락이 안 됐던 것이다. 더구나 그동안 장례를 치를 가족이 없어서 무연고 처리 과정까지 갔었다. 그래서 비용이 좀 들더라도 우리가 모시겠다고 했다”라고 말했습니다.

다시 말해, 대한 가수협회도 사망 이후 2주 만에 부고를 접한 것인데요.

 

 

이자연 협회장은 “구청에서 가족을 여기저기 찾았는데 연락이 안 된다고 하더라”라며 “그나마 여동생의 손녀가 연락이 됐는데 지금은 제주도에 살고 명국환을 잘 모르더라”라고 전했습니다.

또한, 지난해 12월에 방송된 MBN ‘특종 세상’에 함께 출연한 고인의 조카 조경선과 조카 손녀인 가수 리라가 부고를 접했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는데요.

그동안 가족 없이 홀로 지내던 고 명국환은 생전에 극심한 생활고를 겪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앞서 고인은 ‘특종 세상’에 출연해 부엌과 화장실만이 딸린 월 23만 원에 반지하 월세방에서 생활하는 근황을 공개해 충격을 안긴 바 있었는데요.

또한, 병원으로부터 파킨슨병 의심 진단을 받아 안타까움을 자아냈는데, 70년을 내내 혼자 살았다고 밝힌 그는 세 번 결혼했지만, 슬하의 자녀는 없다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당시 반지하 단칸방에서 홀로 살던 명국환은 “70년째 비슷한 생활을 하고 있다. 내 인생의 전성기가 그리 길지 않았다”라고 말하며 “6.25 피난 나와서 21살 때 결혼했는데 자궁 외 임신을 하는 바람에 그냥 다 가버렸다. 총 3번의 결혼을 했지만, 전부 아기가 유산이 됐다. 팔자가 그런 모양인 것 같다. 90이니까 살 만큼 살았다”라고 토로해 듣는 이들에게 애잔함을 안겼습니다.

또한, 당시 “다리가 불편한 건 아닌데 어지럼증이 있어 걷는 게 힘들다”라며 건강 상태를 언급했고, 이에 제작진이 확인한 명국환의 다리는 의지와 상관없이 자꾸만 넘어진 탓에 상처투성이였는데요.

 

또한

과거와 달리 허리 통증을 호소하고 발톱도 제대로 깎지 못했다. 그는 처음 만난 제작진에게 자신의 발톱을 깎아달라고 부탁했지만, 제작진은 이를 간신히 해냈다.

그는 “발톱을 깎아줄 사람이 없다. 언제 마지막으로 잘라줬는지 기억도 안 난다”, “그 동안 좀 더 가까이 잘라주세요. “1년 뒤에 또 자를 수 있을지 모르겠어요.”

게다가 TV 리모컨을 휴대폰으로 착각해 휴대폰으로 전화를 걸고 받는 방법도 몰랐다. 그 결과 그는 “현기증이 나고 가끔은 잊어버릴 때도 있다. ”

 

 

당시 방송에서 명국환은 오랫동안 자신을 찾아온 조카, 조카와 함께 외출을 나갔다. 명국환은 병원을 방문해 정밀 검사를 받았고, 의사는 결과를 받아 “특별한 문제는 없는 것 같다. 파킨슨병의 증상은 아니지만 파킨슨병의 비정형 증상은 뇌파에 큰 문제를 일으키지는 않지만, 나이가 많아서 퇴행성 질환인 파킨슨병 증상이 나타난다”며 전문의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간병인. 이에 명국환은 의사의 도움을 받아 장기요양을 받았다. 그는 등급요청서를 제출했고, 방송 후 대한가수협회와 음악저작권협회는 혼자 생활하며 기부를 하고 있는 명국환을 위로하며 훈훈함을 나눴다.

이날 방송에서 명국환의 친구는 “이 사람 참 힘든 삶을 살고 있다. 그는 혼자이고 가족도 전혀 없습니다. 그는 오로지 정부 보조금으로 살아간다. 그는 인생의 마지막 날을 매우 힘들고 힘든 방식으로 보내고 있습니다.” 가수협회 이자연 회장은 이렇게 말했다. “그때 선생님은 혼자 걷고 계셨어요.”라고 그는 말했습니다. “원래는 집에서 만나기로 했는데 깜빡하고 집 밖으로 불러냈더니 종로 냉면집에 계셨어요. 그래서 선생님께 사무실로 오라고 했어요. 종로에 아는 커플이 있었던 것 같아요. “저는 선생님을 데리고 왔습니다”라고 그는 회상합니다.

이자연 협회장은 방송 이후에도 고 명국환에게 도움의 손길을 보냈다고 한다. 이자연은 “연말에 선생님을 도왔다. 그 시간에는 못 오겠다고 해서 그 사람 은행계좌로 보내줬어요. 그런데 갑자기 연락이 안 되더군요. 선생님을 아는 사람에게 물었습니다. 우리는 그를 찾았지만 그도 우리에게 연락할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요양원에 간 뒤에도 연락을 못 하신 것 같아요. 계속 찾아봤는데 어제 요양병원에서 가수로 확인하고 사망신고를 하라고 연락이 왔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밤에 서둘러서 그를 찾았습니다. 그는 “요양병원에 데려가기로 했다. 언제 요양병원에 왔는지는 모른다. 봄까지 연락을 했으니 몇 달이 지난 것 같다”고 말했다.

1927년 황해도에서 태어난 고 명국환 선생은 1950년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가족과 함께 베트남에 정착했다.

그는 1950년대 ‘백마야 울지마’로 데뷔해 ‘방랑시인 김삿갓’, ‘애리조나 카우보이’, ‘학독’, ‘희망’ 등의 히트곡을 남겼다. 2014년에는 가수의 날 평생공로상과 제5회 한국문화예술상을 수상하기도 했으며, 이자연 보건문화원장은 “선생님이 노래를 잘 부르시고 우리를 보면 항상 기뻐하셨다”고 고인을 회상했다. .”

 

또한

이자연은 지난 2021년 4월에 서울 홍대에서 원로 가수들을 위해 마련한 비대면 콘서트 k가요 착한 콘서트에 참석했던 고인의 모습을 떠올리며, “코로나19 때 선배들을 모시고 용돈이라도 드리려고 공연을 했었다. 당시 명국환 선생님도 함께 무대에 서는 걸로 해서 출연료도 따로 드리고 했다. 그때 명국환 선생님이 노래가 잘 안되더라. 나와 같이 듀엣으로 ‘방랑 시인 김삿갓’을 불렀다. ‘나 노래 어때’라고 물으시길래 ‘잘했다’라고 했다. 앵콜 곡으로 둘이 같이 불러야 한다고 그래서 불렀던 기억이 난다. 그게 아마 선생님의 마지막 무대였을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결국, 명국환은 과거 1950년대에 많은 곡들을 히트시켰지만, 후손도 없이 한평생을 외롭게 살다가 갈 때마저도 아무도 지켜주지 않고 홀로 떠나게 된 것이었습니다.

고인의 장지는 국립 괴산호국원으로 정해졌는데요.

 

그리고

한 시대를 풍미했던 가수도 이렇게 외롭게 떠나는 걸 보니 너무나 안타까운 마음 한편으로 우리의 인생도 이렇게 참으로 덧없이 떠나는 게 아닌가 살아 있을 때는 억척같이 살아가지만 결국 모든 걸 다 놓고 아무것도 없이 그저 한 줌의 제가 되어 떠나는 게 우리들의 인생이 아닌가 하는 허무한 생각도 드는 것 같습니다.

모쪼록 평생을 홀로 지낸 명국환이 하늘에서는 낳아주신 부모님이라도 만나 가족의 따뜻함을 느낄 수 있기를 바라고, 이제 하늘에서는 편안하게 쉴 수 있게 되기를 바라며 삶과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Leave a Comment